본문 바로가기
독서

[자연과학]51가지 통계 방법,시가 야스오,히메노 나오코,성안당 - 우리와 아주가까이 있는 통계

by 골드 세이아 2023. 7. 8.

우리와 아주가까이 있는 통계

 

어려운 통계

수학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나에게는 통계다.

계산이 제일 많이 틀리고 말 뜻도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다.

통계를 왜 내야 하는지 모를때도 있었다.

책을 읽으니 머릿속으로 생각만 한 희미한 생각을 명확하게 해 주며

근거를 뒷받침하는 가장 좋은 학문이다.

 

책에서는 사례를 통해 통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보여준다.

특히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잘 알려주는데,

비스니스는 통계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출처: yes24

통계의 중요성

사업을 한다면 직원인건비나 광고비 등 여러 지출내역을 고려하여

결정을 해야 하는데 통계를 활용해 매출 내는 것이 정말 정확하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 유튜브에서 세무조사에 대한 내용을 들으며

돈을 많이 벌게 되면 세금으로 폐업까지 가겠구나 두려움이 생겼다.

물론 아무 이유 없이 세무조사를 하진 않지만 자금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라도

성실하게 납부를 하며 사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라도 통계는 필수다.

 

아주 정확하게 알고 성실하게 내는 것과

나름 공부했지만 잘 모르고 맞겠거니 하고 세금을 내는 것은 차이가 있다.

댓글

네이버 뉴스나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생각하면 댓글을 반드시 본다.

댓글에서는 종종 모르는 사람들끼리 싸우는데 예전에는

조금 단순했다면 요즘은 문장도 엄청 길고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적은 것 같은

댓글도 많다. 어떤 댓글은 심증은 있는데 증명을 못하는 모호한 글이 있다.

 

최근에 본 유튜브 숏츠는 어떤 영화의 일부였다. 숏츠 내용이 논란이 될 만한 요소가

있어 댓글이 천 개는 달렸는데 누군가가 댓글에 '영화도 안 봤으면서 단편적인 숏츠만을 보고

영화 내용을 다 아는 것처럼 의견을 이야기하지 말라'라고 했다.

모든 상황에 적용이 되진 않겠지만 개인적으로 숏츠만을 보고 영화가

어떤 내용일지 파악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왜 이렇게 되는지 숏츠를 보고 영화전체 내용을 맞추는지 못 맞추는지

통계를 내보면 증명이 가능할 것 같다.

콘텐츠에 아무렇지도 않게 댓글이 달리지만 틀리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시간과 에너지와 수학이 필요한 종합예술처럼 보인다. 연구할 소재를 찾으려면

댓글만 봐도 충분할 것 같다.

 

반응형

데이터 경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데이터는 석유다. 그런데 석유자체로는

그냥 검은 물이다. 석유가 자동차에 들어가려면 반도체가 있어야 된다.

통계 책을 읽다 보니 통계가 차량용 반도체라는 생각이 든다.

 

인공지능이 통계를 하기에는 복잡한 것은 문제가 되지 않겠다만

사람들의 미묘한 심리나 실제에서 변수를 잡아내지 못할 것 같다. 미래에 새로 생겨날 직업에

왜 데이터 분석가가 있는지 조금 알겠다.

 

정밀한 비스니스 계획과 일상생활에서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통계는 사람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결정을 잘 못하겠거나 고민이 되는 요소가 있거나 원하는 것을

하고 싶어서 방법을 찾는다면 통계를 활용하면 답답함이 해소될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