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지금당장 목표 설정을 해야하는 이유

by 골드 세이아 2024. 1. 11.

지금당장 목표 설정을 해야하는 이유

 

지금안하면 다음은 없다.

언제나 "나중에" 라는 핑계로 목표 설정을 미뤄왔다면, 지금이 바로 시작할 때다. 시간은 가치고, 목표 없는 삶은 팥 없는 붕어빵, 고무줄 없는 빤스, 오아시스 없는 사막과 다를 것이 없다. 어제와 95% 비슷한 삶을 살면 내일은 변하지 않는다. 하루는 바쁘게 지나가고 지금 하지 않으면 잊어먹는다.

목표를 설정해야하는 이유

목표가 없다면 무기력하고 무의미할 수 있다. 자신의 삶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조종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표를 설정하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놓치면 미래의 성공을 방해할 수 있다. 자기 결정의 힘은 다음의 연구결과로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앨랜랭거라는 심리학자와 주디스 로딘은 91명의 요양원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실험은 무작위로 두 그룹을 나뉘어서 진행했다. 첫번째 그룹은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고 두 번째 그룹은 직원들의 도움을 받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첫번째그룹은 가구 배치, 가는 곳, 식물 돌보기, 누구와 시간을 보낼 것인지 등 사소한 일들을 스스로 결정을 했고 두 번째 그룹은 첫 번째 그룹이 하는 일을 직원들이 대신했다. 보통은 노인들에게 요양원을 권하는 이유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 있으면 케어를 해야 하는데 평범한 사람이라면 직장도 있고 의도치 않게 야근을 해야 할 수 있다. 원래 있던 가족들의 생활환경에 변화가 있으니 적응하는데 사소한 부담도 있을 것이고, 아프면 병원을 가야 하는데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활동을 어느 정도는 해야 되니 가끔 집 밖에도 돌아다니고 산책도 해야 한다. 길도 잘 모르고 도어록 비밀번호조차 열지 못해 옆에 누군가 없다면 집 안에만 있어야 한다.

 

물론 집보다는 요양원에서 지내게 된다면 자유에 다소 제약이 따른다. 실험 내용에서는 요양원에 있으면 어느 정도는 결정의 자유없는 환경에서 살아야 하지만 잠재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첫번째 그룹은 사소하지만 책임이 따르는 가구 배치, 식물 돌보기 등 결정이 자기 주도적으로 이루어졌고 두 번째 그룹은 첫 번째 그룹과 달리 직원이 모든 것을 결정하였다.

 

사소한 결정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싶지만 18개월 뒤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는 의외였다. 행동 측정에 따르면 첫번째 실험 그룹은 비교 그룹 대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정신적, 신체적 측면에서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이 결과는 노인들에게 의사 결정 기회와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요양원에서 생활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가구배치, 식물 관리, 만나는 사람 시간 결정 등 사소하지만 책임이 따르는 일들을 스스로한 노인들은 건강이 향상되고 긍정적이었던 반면 심지어 직원들의 통제에 있던 두 번째 그룹은 더 많은 비율로 사망했다.

스스로 결정하는 주도적인 자세는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 자기 계발, 동기 부여, 그리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당면한 도전은 성장의 기회로 된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은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다. 큰 흐름으로 변화를 생각하고 잘게 잘게 쪼게 장기, 중기, 단기로 나누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지금 당장 목표를 설정하고 행동에 옮기면 삶에 새로운 의미와 만족을 찾을 수 있다. 

목표 설정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신에게 도전을 주어 성장하는 계기가 된다. "나중에 하겠다"는 태도는 해야 할 일을 미루게 되고 이런 패턴이 반복되면 기회를 놓칠 뿐만 아니라 불안과 무력감을 낳을 수 있다. 목표를 통해 자신의 방향성을 찾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 자신의 삶에 집중하고 모든 체력과 뇌의 쥐어짜 내서 나온 에너지까지 목표를 이루는데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자신을 귀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728x90
반응형